티스토리 뷰
목차
“기초연금”과 “노령연금(국민연금)”은 이름이 비슷해 헷갈리기 쉽지만,
실제로는 제도 목적, 수급 자격, 재원 등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.
헷갈리는 두 연금제도를 한눈에 비교해보고,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!
기초연금 vs 노령연금 차이 한눈에 보기
항목 | 기초연금 | 노령연금(국민연금) |
---|---|---|
운영 주체 | 보건복지부 | 국민연금공단 |
재원 | 국가 재정(세금) | 보험료 (개인 + 사업장 + 정부) |
수급 연령 | 만 65세 이상 | 만 60~65세 (출생연도별) |
수급 조건 | 소득인정액 기준 이하 | 10년 이상 가입 |
지급 금액 | 최대 월 342,510원 | 납입기간·소득에 따라 다름 |
목적 | 복지 목적(최소한의 생활 보장) | 사회보험 목적(노후소득 보장) |
중복 수령 | 가능 (국민연금 수령액에 따라 감액) | 가능 (기초연금 병행 수령 가능) |
주요 차이점
기초연금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한 복지제도입니다.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여야 받을 수 있으며, 모든 65세 이상에게 자동 지급되는 것이 아닙니다.
노령연금(국민연금)은 보험 방식으로, 가입자가 매월 보험료를 납부하고 일정 기간(10년 이상)을 채워야 받을 수 있는 연금입니다.
즉, 기초연금은 현재 형편 중심, 노령연금은 과거 납입 이력 중심입니다.
기초연금과 노령연금 병행 시 유의사항
-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으면 기초연금 일부 감액
- 부부 모두 수급 시 ‘부부감액제도’ 적용 (2025년 기준 가구당 최대 약 54만 8천 원)
- 기초연금은 반드시 신청해야 수급 가능 (자동 아님)
사례로 보는 수급 예시
✔ 사례 1. 국민연금 無가입자 김OO 어르신 (68세)
김 어르신은 농촌에 거주하며 국민연금을 한 번도 가입하지 못했습니다. 현재 소득이 거의 없어 기초연금만 단독 수급 중이며, 2025년 기준 월 약 34만 원을 수령하고 있습니다.
✔ 사례 2. 국민연금 15년 가입자 이OO 어르신 (70세)
이 어르신은 국민연금을 15년간 납입해 현재 월 48만 원 수령 중입니다. 기초연금도 일부 감액되어 월 약 12만 원 추가 수령, 총 월 60만 원의 연금으로 생활하고 계십니다.
자주 묻는 질문 Q&A
Q1. 국민연금 수령 중인데 기초연금도 받을 수 있나요?
A. 네, 가능합니다. 다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높으면 기초연금은 감액될 수 있습니다.
Q2. 기초연금만 받고 있는데 국민연금도 받을 수 있나요?
A. 국민연금은 최소 10년 이상 납입해야 수급 가능하며, 추후납부 제도를 통해 납입기간을 채울 수 있습니다.
Q3. 부부가 모두 수급 대상이면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?
A. 부부감액 제도가 적용되어 개인별 최대 금액보다는 줄어들며, 2025년 기준 가구당 최대 약 548,000원입니다.
Q4. 노령연금은 재산이 많으면 못 받나요?
A. 아닙니다. 노령연금은 재산과 무관하며, 납입기간과 연령 기준만 충족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.
2026년 제도 개편 예고
- 기초연금 부부감액제도 완화 예정
- 디지털 신청 확대 및 자동심사 시스템 도입
-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제도 개선 논의 중
제도 개편 전후로 내 수급 가능성이 바뀔 수 있으니, 미리 체크해두는 것이 유리합니다.
마치며
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은 노후소득의 두 축입니다. 둘 다 수급 가능하면 병행 수령이 가능하며, 상황에 따라 신청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. 아래 링크를 통해 내 연금 가능성을 미리 확인해보세요!